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인테리어 견적서 받아봤다면? 이렇게 비교하면 실패 없다

by lim130827 2025. 4. 26.

 

견적서는 받았는데… 어떻게 비교하지?

인테리어를 처음 준비하는 사람들의 공통된 고민은 이거예요.


“견적서는 받았는데, 어디가 좋은 건지 모르겠어요.”

 

총 금액만 비교하는 건 매우 위험합니다.


공사 항목, 자재 수준, 철거 포함 여부 등 여러 조건이 달라 단순 가격 비교로는 절대 좋은 선택을 할 수 없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초보자도 따라할 수 있는 견적서 비교 방법 5단계를 소개합니다.


직접 견적을 받아봤다면 꼭 이 글을 참고해서 비교해보세요.


1. 견적의 총액보다 ‘공사 항목’부터 비교하자

  • “거실 500만 원”과 “거실 800만 원” 견적이 있다고 가정해볼게요.
    금액만 보면 당연히 전자가 싸 보이지만, 실제로는 포함 항목이 전혀 다를 수 있습니다.

공사 항목 비교 시 확인할 것들:

  • 도배/바닥 포함 여부
  • 조명 교체 유무
  • 철거 및 폐기물 처리 포함 여부
  • 하자보수 및 A/S 명시 여부

항목 누락이 많으면 나중에 추가 비용으로 더 지출할 수 있으니, 반드시 세부 항목별로 체크해야 해요.


2. 자재 브랜드와 스펙 확인하기

같은 ‘싱크대’라도 어떤 자재를 쓰느냐에 따라 견적은 크게 달라집니다.

예시 비교:

  • 상판: 인조대리석(보급형) vs 엔지니어드스톤(고급형)
  • 벽지: 합지 vs 실크
  • 바닥재: 장판 vs 강마루
  • 조명: 일반 LED vs 매립 간접조명

브랜드명과 제품명이 명시되어 있는 견적서가 훨씬 신뢰도가 높습니다.

→ 자재명이 없다면 “이건 어떤 브랜드예요?” “스펙 확인할 수 있나요?” 라고 꼭 물어보세요.


3. 부가세(VAT) 포함 여부 꼭 체크하기

  • 견적서에 부가세가 포함되어 있는지 별도로 청구되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총액의 10%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이에요.
  • 예를 들어 1,500만 원 견적이라도 부가세 미포함이면 실제 청구 금액은 1,650만 원이 되는 셈입니다.

견적 비교는 항상 “부가세 포함 기준”으로 통일해서 해야 공정합니다.


4. 현장 실측 후 조정 가능한 견적인지 확인하자

온라인이나 전화 상담만으로 받은 견적은 대체로 ‘예상 견적’입니다.
현장 실측을 통해 실제 상황을 반영한 견적이 신뢰도 있는 견적입니다.

  • 벽 상태, 배관 노후 여부, 천장 높이 등에 따라 금액이 달라질 수 있음
  • 실측 후 견적을 다시 받는 과정이 필요함

실측 없이 바로 계약을 유도하는 업체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전체 금액’만큼 중요한 ‘단가 비교’

공사 항목을 평당 또는 개당 단가로 나눠보면 숨겨진 고비용 항목이 보입니다.

예시:

  • 도배: 20평 기준 80만 원 → 평당 4만 원 (적정)
  • 장판: 20평 기준 140만 원 → 평당 7만 원 (약간 높음)
  • 강마루: 20평 기준 240만 원 → 평당 12만 원 (고급)

항목별 단가로 나누어 비교하면, 과도한 공사비가 있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어요.

엑셀로 정리하면 가장 직관적입니다.


견적 비교표 예시 (20평 아파트 기준)

항목 A업체 단가/총액 B업체 단가/총액 차이 원인 확인 포인트

도배 (실크) 평당 4만 / 80만 평당 4.5만 / 90만 브랜드 차이? 부자재 포함 여부
장판 평당 7만 / 140만 평당 6.5만 / 130만 철거 포함 여부
욕실 공사 1개 450만 1개 400만 방수, 수전, 타일 등 상세 확인
조명 교체 전체 60만 전체 90만 간접조명 포함 여부
총합계 2,300만 원 2,150만 원 금액보다 내용 비교 우선

마무리: “비교하는 힘”이 인테리어 성공을 좌우한다

좋은 인테리어는 ‘예쁜 결과’만큼이나 합리적인 과정에서 나옵니다.


견적을 비교하지 않고 업체를 선택하는 건, 계약서 안 보고 집 사는 것과 같은 수준의 위험이에요.

 

다음 항목들을 기준으로 비교해보세요:

  • 공사 항목과 자재 구성 비교
  • 자재 브랜드와 마감재 수준 확인
  • 부가세 포함 여부 체크
  • 실측 기반 견적인지 확인
  • 단가로 비교 정리

이렇게 비교하면,


가격만 보고 결정하는 실수 없이 내 집에 꼭 맞는 업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