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테리어 업체 어떻게 고르지? 비교가 답이다!
인테리어는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이 드는 큰 지출입니다.
그래서 누구나 믿을 만한 업체를 고르고 싶어 하죠.
하지만 주변에 소개해줄 사람이 없거나 처음 진행하는 경우,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합니다.
**이럴 때 유용한 것이 바로 '인테리어 견적 비교 플랫폼'**입니다.
업체 선정, 견적 확인, 포트폴리오 비교까지 한 번에 가능하다는 점에서
비전문가도 쉽게 인테리어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필수 도구라고 할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실제로 많이 사용하는 인테리어 견적 비교 사이트 5곳을 소개하고, 각 사이트의 장단점도 함께 정리해봤어요.
1. 집닥 (ZipDoc)
- 사이트: https://www.zipdoc.co.kr
- 특징: 인테리어 전문가 3인 추천 시스템, 리뷰 기반 평가
집닥은 국내 인테리어 비교 플랫폼의 대표주자입니다.
간단한 정보 입력만으로도 3~5개의 업체 견적을 비교할 수 있고,
전담 매니저가 중간에서 상담을 도와주기 때문에 초보자에게 특히 유용합니다.
- 장점: 중재 시스템이 있어 분쟁 대응 가능, A/S 보장
- 단점: 비교 견적을 받기까지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음
2. 오늘의집
- 사이트: https://ohou.se
- 특징: SNS 감성 + 실사용 후기 중심
‘오늘의집’은 원래 인테리어 쇼핑몰 이미지가 강하지만,
최근엔 시공 서비스와 견적 비교까지 영역을 확장했습니다.
실제 사용자의 전후 사진, 후기들이 풍부해서 아이디어 얻기 + 업체 찾기까지 한번에 가능합니다.
- 장점: 감성 중심 후기 풍부, 모바일 앱 이용 편리
- 단점: 비교 견적 기능은 다소 간소화되어 있음
3. 집꾸미기
- 사이트: https://ggumim.co.kr
- 특징: 스타일별 추천 + 시공사 포트폴리오 기반 매칭
집꾸미기는 감각적인 인테리어 콘텐츠로 유명한 플랫폼이지만,
견적 비교 기능도 제공하고 있어요.
단순 가격 비교보다는 포트폴리오 스타일이 마음에 드는 시공사를 찾고 싶은 분에게 적합합니다.
- 장점: 스타일별 맞춤 추천, 상담이 신속
- 단점: 직접 비교보다는 큐레이션 중심
4. 허브시스템 (허브인테리어)
- 사이트: https://hubinterior.co.kr
- 특징: 시공사 입찰 방식 + 가격 경쟁 구조
허브시스템은 입찰 기반으로 여러 업체가 경쟁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런 방식 덕분에 가성비 높은 견적을 받을 가능성이 크고, 비용 절감 목적에 적합합니다.
- 장점: 비교 견적이 빠르게 제공됨, 입찰 시스템으로 단가 경쟁 유도
- 단점: 시공사 검증력이 다른 플랫폼보다 약한 편
5. 인하우스
- 사이트: https://inhouse.review
- 특징: 후기 중심 플랫폼, 시공별 세부리뷰 정리 강점
실제 시공한 사용자 후기만 모아놓은 독특한 플랫폼입니다.
업체 직접 매칭보다는, 먼저 리뷰와 결과물을 확인한 후 연락할 수 있는 구조예요.
후기 데이터가 쌓이면서 최근 주목받고 있고, 신뢰 기반 비교에 적합합니다.
- 장점: 리뷰 전문 플랫폼, 만족도 높은 업체 위주 추천
- 단점: 직접 견적 비교보다는 후기 탐색에 초점
실제 사용자 후기 요약
플랫폼 사용자 만족도 가격 비교 기능 스타일 탐색 초보자 추천도
집닥 | ★★★★★ | 매우 강함 | 중간 | 매우 높음 |
오늘의집 | ★★★★☆ | 보통 | 매우 강함 | 높음 |
집꾸미기 | ★★★★☆ | 약함 | 강함 | 중간 |
허브시스템 | ★★★★☆ | 매우 강함 | 약함 | 보통 |
인하우스 | ★★★★☆ | 약함 | 후기 기반 강함 | 중간 |
마무리: 플랫폼 잘 고르면 견적도, 결과도 달라진다
인테리어는 한 번 잘하면 오래 가고, 한 번 실패하면 오래 후회하게 됩니다.
비교는 귀찮아도, 견적은 꼭 여러 곳에서 받아보는 것이 핵심입니다.
- 예산이 중요하다면: 허브시스템, 집닥
- 스타일 참고가 필요하다면: 오늘의집, 집꾸미기
- 리얼 후기를 중시한다면: 인하우스
무엇보다 중요한 건, 비교할 수 있는 기준을 내가 갖는 것입니다.
위 플랫폼들을 잘 활용하면, 업체에 끌려가지 않고 내가 선택하는 인테리어가 가능해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