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인테리어 업체 견적서 보는 법 – 초보도 쉽게 이해하는 항목별 설명

by lim130827 2025. 4. 22.

 


 

견적서를 받았는데… 무슨 말인지 하나도 모르겠다면?

처음 인테리어 업체에서 견적서를 받으면, 꽤 당황하게 됩니다.


각종 용어, 자재명, 공사 명칭들이 나열되어 있지만 도대체 뭘 의미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이죠.

 

견적서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과다 청구를 당하거나, 예상치 못한 추가 비용에 시달릴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인테리어 견적서에 자주 나오는 항목 6가지를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나하나 설명해드릴게요.

1. 공정 항목: 어떤 작업을 어디에 하는가?

견적서의 가장 기본 단위는 ‘공정 항목’입니다.


예를 들어 “도배공사”, “장판공사”, “싱크대 교체” 등으로 구분되죠.

  • 도배공사: 벽지 시공, 천장 포함 여부 확인
  • 바닥공사: 장판, 강마루, 타일 등 마감재 종류에 따라 단가 달라짐
  • 주방공사: 싱크대 길이(m)에 따라 견적 산정, 상판 재질이 포인트
  • 욕실공사: 철거 포함 여부와 방수 공정, 수전 브랜드 꼭 체크

같은 항목이라도 자재, 평수, 시공 방식에 따라 금액이 달라지므로 꼭 세부 설명까지 확인해야 해요.

2. 수량 단위: 평, M, EA 등 단위의 의미

견적서에는 다양한 단위가 등장합니다.

  • 평 (p): 도배, 바닥재 시공 등에서 사용
  • M (미터): 싱크대, 몰딩, 조명 등 선형 길이
  • EA (개당): 조명기구, 수전, 콘센트 등 수량
  • SET: 욕실 세트, 도어 세트 등 제품 구성 단위

단위를 보면 견적이 어떤 기준으로 산출되었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 “도배공사 24평 기준 / 실크벽지 / 천장 포함 / 부자재 포함”


→ 이러면 벽지, 접착제, 인건비 등 모두 포함된 가격이에요.

3. 자재 및 브랜드: 품질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

같은 ‘싱크대’라도 어떤 자재를 썼느냐에 따라 가격과 퀄리티는 완전히 달라집니다.

  • 상판: 인조대리석 vs 엔지니어드스톤
  • 벽지: 합지 vs 실크
  • 조명: 일반 LED vs 간접조명/매입등
  • 도어: ABS 도어 vs 원목 도어

브랜드가 명시되어 있지 않으면, 저렴한 비브랜드 제품이 들어갈 수도 있어요.


꼭 “LG하우시스”, “KCC”, “한샘” 같은 브랜드명이 있는지 확인하세요.

4. 철거 및 부자재 포함 여부

많은 사람들이 놓치는 항목입니다.

  • “욕실 공사 400만 원”이라고 되어 있는데, 알고 보니 철거비 별도!
  • 시공은 했지만 문틀, 몰딩, 실리콘은 제외!

견적서에 “철거 및 부자재 포함” 또는 “별도”가 명시되어 있는지 꼭 체크하세요.


추가 비용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는 부분입니다.

5. 인건비와 시공비 항목

자재 가격 외에도 시공을 진행하는 데 들어가는 인건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도배, 장판, 타일 등의 시공 인건비는 보통 평당으로 계산
  • 배관, 전기, 타일 시공은 기술 수준에 따라 단가 차이 큼

어떤 견적서는 인건비가 별도고, 어떤 곳은 포함되어 있으므로 총액을 기준으로 비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 부가세(VAT) 포함 여부

부가세는 총 견적의 10%로, 상당한 금액입니다.
일부 업체는 견적서를 VAT 별도 금액으로 작성해서 처음 제시한 가격보다 더 높은 금액을 청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견적서 하단에 “VAT 포함” 또는 “별도” 명시 여부를 꼭 확인하세요.

견적서 예시 정리 (20평 기준)

항목 내용 금액

도배공사 실크벽지 / 20평 / 천장 포함 80만 원
바닥공사 강마루 / 철거 포함 180만 원
주방공사 3M / 인조대리석 / 철거 별도 250만 원
욕실공사 세면대, 타일, 방수 / 철거 포함 400만 원
기타 조명, 몰딩, 부자재 등 150만 원
총합계 부가세 포함 1,210만 원

마무리: 견적서를 읽을 수 있어야 제대로 비교할 수 있다

인테리어 견적서는 단순히 숫자의 나열이 아닙니다.


구성, 단위, 자재, 포함 범위를 정확히 이해해야 진짜 비교가 가능하고, 예상치 못한 지출을 막을 수 있습니다.

 

처음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위에서 소개한 6가지 항목만 체크해도 업체와의 커뮤니케이션이 훨씬 원활해지고, 비용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어요.


꼭 저장해두고 다음 견적서를 받을 때 참고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