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집 꾸미기, 인테리어는 언제 어떻게 시작할까?
이사를 앞두고 설레는 마음은 누구나 같지만.
막상 인테리어를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몰라 당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도배, 장판, 조명 등 간단한 작업이라도 시기와 순서를 놓치면.
시간과 비용 모두 낭비하게 될 수 있어요.
그래서 이사 전에 미리 준비해야 할 인테리어 체크리스트를 소개합니다.
이 체크리스트만 챙기면 이사 후 후회할 일이 줄어듭니다.
1. 도배·장판 상태 점검
기존 입주자가 사용하던 흔적이 남아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벽지에 곰팡이나 찢김이 있는지.
장판에 눌림 자국이나 벌어짐은 없는지 꼼꼼히 살펴보세요.
특히 전세라면 계약 전에 교체를 요청할 수 있으니.
미리 사진을 찍고 집주인과 협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콘센트와 스위치 위치 확인
이사 후 가구를 배치하고 나면 콘센트가 가려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침대, 책상, TV장 등 주요 가구의 위치를 미리 그려보고.
전기 배선 위치를 파악해두면 실용적인 공간 구성이 가능합니다.
필요하다면 멀티탭 설치 위치도 함께 계획해두세요.
3. 조명 밝기와 종류 체크
기본으로 설치된 조명은 밝기가 약하거나 색감이 맞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LED 조명으로 교체하면 전기요금 절감은 물론.
전체적인 분위기도 확 달라집니다.
주방, 거실, 침실 등 공간별로 적절한 색온도와 밝기를 고려해 보세요.
4. 수납 공간 확인
이사 후 가장 후회하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수납입니다.
장롱이나 붙박이장이 부족하면 공간이 금세 지저분해지죠.
수납할 가전제품이나 옷장의 크기를 미리 측정하고.
필요한 수납 가구를 체크해두면 이사 후 훨씬 편리합니다.
5. 욕실/주방 상태 점검
물이 잘 내려가는지.
수전이나 세면대에 누수는 없는지.
실리콘 마감이 곰팡이로 얼룩지진 않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주방은 후드 작동 여부와 싱크대 하부 누수도 꼭 점검하세요.
6. 현관 중문 또는 방풍 시설 필요 여부
겨울철 난방비 절감과 외부 소음 차단을 위해.
현관에 중문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중문이 없다면 이사 전에 설치를 고려해보세요.
디자인과 예산에 따라 슬라이딩형, 여닫이형 등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7. 에어컨, 보일러 등 가전 점검
벽걸이 에어컨, 천장형 냉방기 등은 이전 세입자의 흔적이 남을 수 있습니다.
기기 작동 여부와 리모컨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세척이나 수리를 요청하세요.
보일러도 미리 시운전을 해보는 것이 안전합니다.
8. 셀프 인테리어 계획 세우기
벽선반, 커튼 설치, 페인트칠 등은 직접 할 수도 있습니다.
이사 전 미리 자재를 준비하고.
할 수 있는 작업부터 차근차근 해두면 비용을 아낄 수 있어요.
단, 드릴 사용이 필요하거나 벽에 구멍을 내야 하는 경우는.
임대 계약 조건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9. 인테리어 순서 정리
인테리어는 순서가 중요합니다.
먼저 청소를 하고 → 도배/장판 → 가구 배치 → 소품 설치 순으로 계획하세요.
작업 중 공사 먼지가 발생하므로.
청소는 맨 마지막에 한 번 더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10. 체크리스트는 꼭 메모로 준비하자
현장에서 빠르게 판단해야 할 일이 많기 때문에.
종이나 스마트폰 메모장에 체크리스트를 적어두면 좋습니다.
체크한 항목은 하나씩 지우면서 진행하면.
누락 없이 깔끔하게 이사 준비를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이사 전 인테리어는 단순히 예쁜 집을 만드는 것을 넘어서.
더 편리하고 만족스러운 생활을 위한 준비입니다.
급하게 처리하기보단, 시간을 들여 하나씩 체크해보세요.
조금만 신경 써도 이사 후 삶의 질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