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테리어 설계, 예쁘기만 하면 될까?
인테리어는 ‘예쁘게 꾸미는 일’이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예쁜 인테리어는 기본이고,
실용적이고 안전한 설계가 더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공간의 구조, 사용자의 동선, 시공 가능성, 예산까지 고려해야
진짜 성공적인 인테리어가 완성되죠.
이번 글에서는 인테리어 설계 시 반드시 체크해야 할 5가지 핵심 포인트를
실무 관점에서 소개해드릴게요.
1. 구조물과 벽체의 이해
❗ 철거 전, 이 벽 무조건 없앨 수 있는 게 아니다!
인테리어 설계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것이 내력벽과 비내력벽 구분입니다.
내력벽은 건물 구조를 지탱하는 중요한 벽으로,
함부로 철거하면 안전 문제가 발생합니다.
체크포인트
- 아파트의 경우 기둥식 vs 벽식 구조 확인
- 구조도면이 없는 경우, 관리사무소나 시공사에 확인
- 천장/바닥에도 구조체가 있을 수 있음
2. 동선과 기능 중심 설계
💡 보기보다 중요한 건 “사는 사람의 편의성”
설계할 때는 가구 배치만 잘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어떻게 움직일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주방에서 조리 → 세척 → 보관까지
동선이 단순하고 편리하게 설계돼야 사용이 쾌적합니다.
실전 팁
- 현관 → 거실 → 주방 → 침실까지의 흐름을 가정해보세요.
- 수납 위치, 전등 스위치, 가전 배치 등도 동선의 일부입니다.
3. 정확한 실측과 도면 작성
📐 "실측 한 번 잘못하면 가구가 안 들어간다"
설계의 시작은 실측입니다.
오차가 생기면 도면 오류로 이어지고,
시공 시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체크포인트
- 벽체 두께, 천장 높이, 창문 위치 등은 mm 단위로 기록
- 창 방향과 열리는 방향까지 표시
- 실측 내용은 CAD 등 도면에 정확히 반영
4. 전기·배관·설비 요소 고려
⚡ “벽지만 보고 설계하면 전기·수도 공사가 지연됩니다”
설계 시 콘센트, 조명, 스위치, 배수구, 가스 밸브 등
설비 요소를 반드시 포함해야 합니다.
특히 리모델링에서는 기존 배관과 전선 위치에 따라
설계 방향이 크게 바뀔 수 있습니다.
체크포인트
- 전기 설계도: 조명 배치, 스위치 위치, 콘센트 개수
- 수도 배치: 배수구 경사 고려 필요
- 에어컨, 보일러, 환기구도 미리 확인
5. 예산과 시공 가능성 고려
💸 “아무리 멋져도 예산 초과면 무의미하다”
설계 시 자주 빠지는 함정이
예산보다 비싼 자재를 마구 쓰는 것입니다.
또한, 복잡한 구조나 가벽 설치 등이
현장에서 시공 불가 판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체크포인트
- 예산에 맞는 자재 선택
- 시공 가능한 구조로 설계
- 설계 변경 시, 자재 및 시공비 변화 예측
전문가의 설계는 디테일에서 갈린다
좋은 인테리어 설계란 단순히 ‘보기에 좋은 것’이 아니라
현장, 사용성, 예산, 구조를 모두 고려한 현실적인 설계입니다.
설계 초기에 이런 요소들을 체크하면
시공 단계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80% 이상 줄일 수 있고,
고객 만족도도 훨씬 높아집니다.
마무리: 계획 없이 설계하지 말자
인테리어는 감각도 중요하지만,
기획력과 분석력이 더 중요할 수 있습니다.
오늘 소개한 5가지 주의사항만 기억하셔도
설계의 완성도는 훨씬 높아질 거예요.
다음 글에서는 실제 설계 도면을 기반으로
시공 프로세스를 단계별로 설명해드릴 예정이니 기대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