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면도·입면도·천정도 이해하기
왜 도면이 중요할까?
인테리어는 단순히 예쁜 가구를 배치하는 일이 아닙니다.
공간을 이해하고 구조적으로 접근해야 실용성과 디자인을 모두 갖춘 공간이 완성됩니다.
이때 가장 핵심이 되는 것이 바로 도면입니다.
도면은 디자이너와 시공자, 클라이언트 모두가 같은 그림을 보고
같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해주는 ‘설계 언어’입니다.
오늘은 인테리어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평면도, 입면도, 천정도에 대해 쉽게 알려드릴게요.
1. 평면도(Plan View)란?
“공간을 위에서 내려다본 지도”
평면도는 천장을 걷어낸 상태에서 위에서 공간을 수직으로 내려다본 도면입니다.
가구 배치, 벽체 구조, 동선, 치수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평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들
- 벽과 벽 사이의 치수
- 가구 및 조명 배치
- 창문, 문 위치와 열리는 방향
- 전기 스위치, 콘센트 배치
- 가벽, 붙박이장 등 고정 구조물
실전 팁
- 문과 창 열리는 방향은 꼭 체크!
- 벽체 두께가 있는 그대로 표현되므로 정확한 가구 크기 계산에 활용됨
2. 입면도(Elevation View)란?
“벽을 정면에서 바라본 그림”
입면도는 공간의 벽을 정면으로 본 모습을 그린 도면입니다.
가구 높이, 벽 장식, 마감재 등 수직적 구성을 설계할 때 사용됩니다.
입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들
- 수납장, 붙박이장, 선반의 높이와 위치
- 벽 마감재의 구분 (예: 타일, 도장, 벽지)
- 창문의 높이 및 창틀 디자인
- TV 벽면, 아트월 등 포인트 벽 구성
실전 팁
- 공간에 수직 레이아웃을 적용할 때 필수
- 거실 TV 벽, 침대 헤드월 디자인 등에서 매우 자주 활용됨
3. 천정도(Reflected Ceiling Plan, RCP)란?
“천장을 거울에 비춘 듯 본 도면”
천정도는 천장을 아래에서 위로 본 것처럼 표현한 도면입니다.
조명, 몰딩, 에어컨, 빔 등 천장 구성 요소의 위치와 배치를 설계합니다.
천정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들
- 조명 위치 (매입등, 간접조명, 팬던트 등)
- 천장 마감재 및 재질 구분
- 에어컨, 화재감지기, 스프링클러 등 기계설비 위치
- 몰딩/바리솔/천장 레벨 차이
실전 팁
- 간접조명 설치나 천장 레벨링이 들어가는 공간은 꼭 천정도가 필요
- 시공 중 누락 방지를 위해 실시설계 시 반드시 포함
도면 3종 비교 요약
평면도 | 가구, 벽체, 동선 | 위에서 아래 | 가구 위치, 문·창 방향, 공간 크기 |
입면도 | 벽면 구성 | 정면 | 벽 마감, 수납장, 창 높이 |
천정도 | 천장 구조 | 아래에서 위 | 조명, 몰딩, 기계설비 |
도면을 해석할 수 있어야 설계를 이해한다
초보자에게 도면은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기호와 규칙을 조금씩 익히면 설계를 훨씬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인테리어 현장에서 도면이 없다면,
시공자는 방향을 잃고, 클라이언트는 원하는 공간을 실현하기 어려워집니다.
디자인 감각만으로는 부족하고, 정확한 도면 이해가 병행되어야
디테일한 공간 설계가 가능합니다.
마무리: 도면은 인테리어의 언어다
건축가와 디자이너는 도면으로 소통합니다.
공간을 수치화하고 시각화하며, 같은 이미지를 공유하기 위해 도면은 필수입니다.
앞으로 인테리어를 더 깊이 배우고 싶다면,
도면부터 익숙해지세요.
도면 하나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면,
그 공간을 설계하고 설명하고, 시공까지 이끌 수 있게 됩니다.